HCN DEV

Read in English

Inversion Of Control

Inversion Of Control feature image

Inversion of Control은 단어의 뜻 그대로 제어 흐름이 역전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제어 흐름이 역전되는 것을 알기 위해서는 제어 흐름이 역전되지 않은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역전되지 않은 제어의 흐름이 무엇인지 먼저 살펴보고, 이를 역전하는 Inversion of Control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제어의 흐름

제어의 흐름은 코드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순서 혹은 흐름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소스 코드는 위쪽 코드가 먼저 실행되고 아래쪽 코드가 나중에 실행됩니다. 이 때, 경우에 따라서 조건문/반복문을 추가하여 동작을 제어하기도 합니다. 간단한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예시는 InversionOfControl - Martin Fowler의 예시를 약간 변형한 것임을 밝힙니다.

class ScreenPresenter {
    var name: String = ""
    var quest: String = ""

    func displayName() {
        print("Diplay User Input:", name)
    }

    func displayQuest() {
        print("Diplay User Input:", name)
    }
}

class User {
    func usePresenter() {
        let presenter = ScreenPresenter()
        presenter.name = "Hong"
        presenter.displayName()
        presenter.quest = "Do Something"
        presenter.displayQuest()
    }
}

위 코드의 실행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ScreenPresenter 생성
  2. ScreenPresenter의 property 중 name을 설정
  3. displayName()을 호출하여 name을 출력
  4. ScreenPresenter의 property 중 quest를 설정
  5. displayQuest()을 호출하여 quest를 출력

장황하게 순서를 서술하였지만, 직관적으로 쉽게 이해가 가능한 흐름입니다. 이와 같이 시스템이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를 호출하는 흐름을 제어의 흐름이라고 합니다.

제어의 흐름의 가장 큰 특징은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가 시스템 동작의 제어권을 가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즉, 위의 예제에서 displayName(), displayQuest()를 호출하는 시점은 개발자가 결정합니다. 시스템은 이러한 호출에 따라서 명령을 수행합니다.

2. 제어 흐름의 역전

제어 흐름의 역전(Inversion Of Control)은 제어권을 가지고 있는 주체가 역전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앞서서 제어의 흐름에서 시스템 동작의 제어권은 개발자가 가지고 시스템은 이를 따른다고 얘기하였습니다. IoC는 코드 수행의 제어권이 시스템쪽에 있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위에서 살펴 본 코드를 다르게 구현한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class ScreenPresenter {
    var name: String = "" {
        didSet {
            didFinishWritingName?(name)
        }
    }

    var quest: String = "" {
        didSet {
            didFinishWritingQuest?(quest)
        }
    }

    var didFinishWritingName: ((String) -> Void)?
    var didFinishWritingQuest: ((String) -> Void)?
}

class User {
    func display(value: String) {
        print("Display User Input:", value)
    }

    func usePresenter() {
        let presenter = ScreenPresenter()
        presenter.didFinishWritingName = { nameInput in
            display(value: nameInput)
        }
        presenter.didFinishWritingQuest = { questInput in
            display(value: questInput)
        }
        presenter.name = "Hong"
        presenter.quest = "Do Something"
    }
}

위 코드의 실행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ScreenPresenter 생성
  2. name 설정시 display(value:)가 호출되도록 설정
  3. quets 설정시 display(value:)가 호출되도록 설정
  4. ScreenPresenter의 property 중 name를 설정
  5. ScreenPresenter의 property 중 quest를 설정

이 코드와 이전 예시의 가장 큰 차이점은 display() 함수를 누가 호출하는가입니다. 앞선 예시에서는 이를 개발자가 직접 호출하였습니다. 여기에서는 시스템이 호출합니다. 즉, 개발자-시스템 사이의 제어권이 역전(invert)되는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Ioc는 Hollywood Principle이라고도 불립니다. Hollywood Principle - Don,t call us, We will call you.

3. IoC를 통한 모듈의 확장

앞선 두 예제만 살펴봐도 제어 흐름을 역전시킨 코드는 그렇지 않은 코드보다 상대적으로 더 복잡합니다. 이는 제어 흐름을 역전하기 위해 제어권을 위임하는 장치를 추가하였기 때문입니다. 이 장치는 delegate이라고 불리는 객체를 의미하기도 하고, 위 예제에서 사용한 클로저/콜백 등을 지칭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코드를 복잡하게 만드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IoC는 의도적으로 사용됩니다. IoC를 활용하면 모듈을 매우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IoC 현상을 활용하면, 사용하고 있는 모듈의 변경 없이 기능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위 예시에서 display(value:) 호출 이후에 화면을 reload하는 로직을 추가로 구현한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첫 번째 예시는 아래와 같이 코드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class ScreenPresenter {
    var name: String = ""

    func displayName() {
        print("Diplay User Input:", name)
    }
    
    func reloadScreenForName() {
        print("Reload Screen")
    }
}

class User {
    func usePresenter() {
        let presenter = ScreenPresenter()
        presenter.name = "Hong"
        presenter.displayName()
        presenter.reloadScreenForName()
    }
}

두 번째 예시는 아래와 같이 처리할 수 있습니다.

class ScreenPresenter {
    var name: String = "" {
        didSet {
            didFinishWritingName?(name)
        }
    }
    var didFinishWritingName: ((String) -> Void)?
}

class User {
    func display(value: String) {
        print("Display User Input:", value)
    }

    func reload(value: String) {
        print("Reload Screen")
    }

    func usePresenter() {
        let presenter = ScreenPresenter()
        presenter.didFinishWritingName = { nameInput in
            display(value: nameInput)
            reload(value: nameInput)
        }
        presenter.name = "Hong"
    }
}

두 예시에 나온 변경 사항의 가장 큰 차이점은 소스코드의 어디를 수정하였는가 입니다. 첫 번째 예시는 ScreenPresenter에 기능을 추가하였고, 두 번째 예시는 ScreenPresenter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코드를 수정하였습니다. 만약 ScreenPresenter가 별도의 모듈에 포함되어 있는 코드라면 첫 번째 예시는 해당 모듈을 다시 컴파일해야 합니다. 반면, 두 번째 예시에서는 ScreenPresenter의 변경은 없기 때문에 해당 모듈을 다시 컴파일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러한 IoC를 통한 모듈의 재컴파일을 방지하는 특징은 모듈이 사용자의 코드를 신경쓰지 않고, 모듈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합니다. 모듈은 사용자에게 필요한 적절한 인터페이스만 제공하면 됩니다.

4. 제어권 관점에서의 Library와 Framework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는 메소드와 클래스를 묶은 바이너리 관점에서 큰 차이가 없는 용어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제어권 관점에서 두 가지 용어는 명확히 구분됩니다.

  • 라이브러리 - Application에서 라이브러리의 함수를 호출하거나, 클래스를 만들어서 사용한다. 제어권이 Application에 있다.
  • 프레임워크 - Application에서 각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 맞추어 메소드를 호출하거나, 서브클래싱 등을 수행(Insert Behavior)해야 한다. 제어권이 framework에 있다.

UIKitUIViewController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UIViewController의 라이프 사이클에 맞추어서 코드를 작성합니다. 이 때, 사용자는 UIViewController의 라이프 사이클 관련 메소드를 직접 호출하지 않습니다. 인스턴스만 생성하면 관련 메소드들은 시스템에서 직접 호출합니다. 이 같은 기능을 보면, UIKit은 제어권 관점에서 프레임워크인 예시로 볼 수 있습니다.

애플 생태계의 개발 환경에서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는 리소스 포함 여부에 따라 구분되기도 합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Framework 이해하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